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갑상선항진증

갑상선기능항진증에 대한 정보들 :: 치료과정 초기에 관한 나의 경험담

by 소소다이어리 2022. 11. 7.

 

갑상선기능항진증 진단을 받고나면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언제 완치될 수 있나요? 다. 

 

우선 갑상선항진증은 어떻게 관리를 하느냐에 따라 

치료기간이 크게 달라진다. 

 

당연하지만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으면 낫지 않을 것이고 

갑상선 수치에 따라 적절한 식이요법도 함께 진행해야 한다. 

 

우선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본인도 본인의 병에 대해서 잘 알고있는 것이 좋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갑상선기능항진증에 대한 정보들과 호르몬에 대해 써볼 예정이다. 

 

 

갑상선기능항진증에 관하여

 

갑상샘 체계 / 출처 : 위키백과

갑상선호르몬은

갑상선호르몬(T3/T4)갑상선자극호르몬(TSH)로 나뉜다. 

 

갑상선호르몬과 갑상선자극호르몬은 서로 반대로 영향을 주는데

갑상선자극호르몬(TSH)는 뇌하수체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갑상선호르몬을 생성하는데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보면 갑상선호르몬이 높아지면(정상인도 갑상선호르몬은 변한다)

뇌하수체에서는 '엥? 갑상선호르몬이 높으니까 TSH는 적게 내보내야겠네'하고 

TSH를 적게 내보내고 - TSH가 적게나오니  갑상선 자극이 적게되고 - 갑상선호르몬은 다시 낮아지고 유지된다. 

 

하지만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들 대부분은 이 면역질환에 문제가 생겨서 

위와 같은 항상성이 유지되지 않고 

갑상선호르몬이 높게 유지가 되어 TSH는 적게 나오는데 갑상선호르몬이 낮아지지 않는다. 

 

대부분의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들은 

이 상태가 계속 몇달 혹은 몇년 동안 지속 되었기 때문에 

증상을 느끼고 병원에 방문하였을 때는 

매우 높은 갑상선호르몬(T3, T4)매우 낮은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을 확인하게 된다.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과정

지긋지긋한 메티마졸

보통은 갑상선호르몬(T3, T4)을 먼저 정상범위로 돌려놓은 다음

갑상선호르몬이 정상이 유지되는 선에서 약을 계속 복용하면서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을 정상 범위까지 돌려놓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결국에는 TSH가 정상수준이 되어야 다시 항상성이 잘 작동해야 완치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재발이 잦긴 하지만..이건 나중에 얘기해보자ㅜ

 

아무튼 갑상선항진증 진단을 받으면 

메티마졸을 하루에 n알씩 복용하라고 처방해준다. 

하루에 복용하는 약의 갯수가 많을수록 그만큼 증상이 심각하다는 뜻이다. 

 

초기에는 메티마졸을 복용하면서 한달에 한번씩 피검사를 하고

갑상선호르몬 수치를 확인하며 약을 계속 조절해나간다. 

 

초기에는 갑상선호르몬 수치를 정상범위로 진입시키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메티마졸을 많이 복용하면서 갑상선호르몬 수치를 잡고, 

그 다음에 갑상선호르몬 수치가 안정권으로 접어들면 

그 때부터는 갑상선호르몬 수치를 유지시키면서 갑상선자극호르몬을 끌어올리는 작업을 한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완치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이유는 

이 갑상선자극호르몬을 정상범위로 돌리는 것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갑상선호르몬 수치는 빨리 정상범위에 드는 사람도 있고, 

수치가 널뛰면서 갑상선항진증 - 갑상선저하증을 넘나드는 사람이 있다. 

갑상선 호르몬 변화가 생기면 몸의 컨디션이나 감정기복도 심해져서 

수치가 빨리 잡히지 않으면 이 과정이 힘들다ㅜㅜ

 

나같은 경우는 다행히도 2개월 이내에 정상수치로 진입을 했기 때문에

빠르게 안정권에 진입하며 약을 줄여나갈 수 있었다. 

정상수치가 빠르게 잡힌게 100% 체질때문은 아니고 노력을 많이했다. 

이건 나중의 글들에서 서술할 예정.

 

간혹 귀찮다고 자기 마음대로 약 복용을 중단하거나, 

병원에 가지않고 처음 진단받은 그대로 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면 진짜 큰일난다;;

 

오히려 호르몬이 더 미친듯이 날뛰는 결과를 초래하여

몸상태도 맛탱이가 가버리니 

한달에 한번 하는 피검사가 귀찮더라도 무조건 결과를 확인하고

의사와 상담을 한 뒤에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댓글